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Spring] HttpServletRequest 개요 및 기본 사용법 이번 글에서는 HttpServletReques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HttpServletRequest 클래스는 Servlet 호출 시 생성되는 객체입니다. 뿐만 아니라 HttpServletResponse 객체도 생성되는데, Response에 대해서는 이후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에서 사용하는 HttpServletRequest 개요 및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아보기전에!서블릿(Servlet)에 대한 기본 개념이 부족하시다면아래 링크를 통해 공부 하고 오시는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JAVA] 서블릿(Servlet) 완벽 이해를 위한 정리나는 현재 개발자를 목표로 취업 준비를 독학으로 하고 있다.자바, 스프링 강좌를 들.. 2024. 5. 10.
[JAVA] 서블릿(Servlet) 완벽 이해를 위한 정리 나는 현재 개발자를 목표로 취업 준비를 독학으로 하고 있다.자바, 스프링 강좌를 들으며 공부 중인데,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들과 그냥 "아하~" 하고 넘어가는 부분이 많았다.나중에 응용하려고 해보니, 어떻게 시작을 하고 동작원리나 방법을 몰라 막막했다.나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도 이런 많은 곤란함이 있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서블릿(Servlet)에 대하여 공부를 하여, 굳이 다른 여러 개의 글들을 찾아보지 않을 수 있게 최대한 많은 내용과 쉽게 풀어 정리를 해보려고 노력했다. 이번 글을 통해서 서블릿에 개념을 완전히 잡고 갈 수 있도록 하고, 추후에 포스팅 될 서블릿을 사용하고 자바, 스프링 버전으로 사용하면서 완벽한 이해를 하는 것이 목표이다.서블릿(Servlet)서블릿(Servlet)이란 동적 웹 .. 2024. 5. 9.
[CS] CSR과 SSR 개념 및 차이점 CSR (Client Side Rendering)CSR(Client Side Rendering)이란 클라이언트가 렌더링을 맡아서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인 브라우저가 화면에 그립니다.HTML 결과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웹 브라우저에게 동적으로 생성해서 적용합니다. 즉,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 하는 방식입니다.  CSR의 동작 과정유저가 웹사이트에 방문하면, 브라우저가 서버에 콘텐츠를 요청합니다.서버는 빈 뼈대만 있는 HTML을 응답으로 보내줍니다.브라우저가 연결된 JavaScript 링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다시 JavaScript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JavaScript를 통해 동적으로 페이지를 만들어 브라우저에 띄워줍니다.  CSR의 장단점 CSR은 브라우저가 Java.. 2024. 5. 1.
[Spring] 빈 스코프(Bean Scope) 완벽하게 이해하기 빈 스코프란?빈 스코프의 빈(Bean)이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합니다.그리고 스코프는 이름 그대로 범위라는 뜻으로 빈 스코프는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합니다. 스프링을 공부해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기본적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이 싱글톤(스코프)으로 생성되고 관리되고 스프링 컨테이너와 생명주기를 같이 했기 때문에 신경 쓸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빈 스코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스프링 빈의 생성과 소멸을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해줘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고,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는 스코프를 지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Spring)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합니다.싱글톤 : 디폴트(기본) 스코프입니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 2024. 4. 30.
[Spring] 싱글톤 패턴이란? 그리고 스프링에서의 싱글톤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디자인패턴입니다.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인 싱글톤 패턴의 핵심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딱 하나만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생성자가 여러 번 호출이 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이고 최초 생성 이후에 호출된 생성자는 최초의 생성자가 생성한 객체를 리턴합니다. 이런 싱글톤 패턴을 사용하면 메모리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데이터의 공유가 편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싱글톤 패턴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바를 이용하여 싱글톤을 구현해보고 장단점을 보겠습니다.스프링에서 싱글톤 패턴을 어떻게 사용하는지까지 예제와 그림을 통해서 완벽하게 이해하는 시간을 .. 2024. 4. 25.
[Spring] 빈 생명주기 콜백 - 꼬리에 꼬리를 물고 완벽 이해하기 빈 생명주기 콜백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우리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Ex:  커넥션 풀의 connect & disconnect) 이해를 돕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NetworkClient 예제 클래스를 보겠습니다. NetworkClient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NetworkClient를 생성하면 생성자가 호출된다. System.out.print.. 2024. 4. 24.
반응형